김수철 왜 모르시나 김수철과 작은거인 불후의 명곡 블락비 밴드음악 7080 라이브 어린이돕기 인기가요 히트가요 기타연주 배이스기타연주 밴드연주 노래방 애창곡 카페음악 가요명반

본문 바로가기

블락비 Block B

블락비 Block B

김수철 왜 모르시나 김수철과 작은거인 불후의 명곡 블락비 밴드음악 7080 라이브 어린이돕기 인기가요 히트가요 기타연주 배이…

Page info

Writer Date23-08-15 00:00 Hit61 Comment0

Body

1957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그는 밥 딜런, 지미 헨드릭스, 딥 퍼플 등의 음악을 들으면서

기타 연주와 작곡에 눈을 떴고, 광운공대 통신공학과 재학 중이던

1977년에 KBS 라디오 프로 (젊음의 찬가)에서 '퀘스천'이란 밴드 멤버로 데뷔해

이듬해 '작은 거인'이라는 밴드의 프론트맨으로 활동했다.

밴드가 아닌 김수철 개인이 '작은 거인'으로 불리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김수철의 키는 약 164cm로 꽤 작은 편.

그 후 밴드 '작은 거인'은 TBC 동양방송에서 개최한 1979 전국 대학축제 경연대회에

참가하여 '일곱 색깔 무지개'로 금상을 수상한다.

1983년에는 멤버들이 여러 사정으로 떠나면서 해체했고, 집안에서도 음악에 대한 반대,

김수철 본인의 대학원 진학 등의 사정으로 고별 앨범의 형식으로 솔로 1집을 냈다.

솔로 1집에 수록되었던 '못다 핀 꽃 한 송이', '별리', '내일'등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면서

이듬해 가수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젊은 그대', '나도야 간다' 등 2, 3집 수록곡들이 대박을 잇달아 터뜨리면서 8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로 떠올랐다. 당시는 가왕 조용필의 시대로 가수왕 독점이 후배들에게

못할 짓이라서 가수왕 은퇴 선언을 한 1986년 이전까지 반짝 인기로나마 조용필보다

우위에 섰던 딱 둘뿐인 가수 중 하나다.

다른 하나는 82년 '잊혀진 계절'로 가수왕을 탄 이용.

'정신 차려'처럼 해학적 비판 성격의 가요들도 불렀다

90년대 들어서는 대중가수보다 오히려 날아라 슈퍼보드의 주제곡인 '치키치키차카차카'를

만들고 부른 것으로 인기를 얻었다.

주제곡 뿐만 아니라 삽입곡들도 그가 직접 만들고 불렀다.

특히 국악의 현대화와 퓨전에 엄청난 공헌을 하였다.

대부분 대중가수들의 국악 접목 시도가 1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수많은 가수들이 국악과의 접목 운운했지만 대부분 기존 대중음악에 국악기 한두 개

혹은 사물놀이를 어설프게 끼워넣는 수준이었고 그나마 1회성이었다.

정식으로 국악을 공부해서 시도한 사람은 김수철뿐이다.

'기타 산조'는 김수철이 이름 짓고 작곡 연주한 새로운 장르의 음악이며 산조 역사상

최초로 탄생된 곡이다.

기타 산조 초연은 86 아시안 게임에서 연주되었고, '기타 산조'라고 명명 된 이후로는

공식적으로 1987년 중앙국악관현악단의 창단과 더불어 새롭게 시도 된 정기연주회에서

김덕수 사물놀이와 연주하였다.

Born in Seoul in 1957, he listened to Bob Dylan, Jimi Hendrix, Deep Purple, and more

He opened his eyes to guitar playing and composing, and he was a student in communication engineering at Kwangwoon University

In 1977, he debuted as a member of a band called "Question" on KBS radio program

The following year, he worked as a frontman for a band called "Little Giant".

Kim Soo-chul, not a band, is often called a "small giant."

In fact, Kim Soo-chul is about 164 centimeters tall, which is quite short.

After that, the band "Little Giant" participated in the 1979 National University Festival Contest held by TBC Dongyang Broadcasting

Participate and win the gold medal for "seven-color rainbow."

In 1983, the members left for various reasons and disbanded, and even at home, opposition to music,

He released his first solo album in the form of a farewell album due to circumstances such as his own admission to graduate school.

"One Flower", "Byulli", and "Tomorrow", which were included in my first solo album, became unprecedented hits

He also became the king of singers the following year.

Songs from the 2nd and 3rd albums, including "Young Love" and "I'm Coming", hit the jackpot in the 80s

It emerged as a representative singer. It was the era of King Cho Yong Pil, and the monopoly of King of Singers

Before 1986, when he announced his retirement as the king of singers because it was something he couldn't do, he was more popular than Cho Yong-pil

He is one of the only two singers to have the upper hand.

The other is Lee Yong, who won the King of Singers in 'Forgotten Season' in 1982.

He also sang songs with humorous criticism, such as "Wake Up"

In the '90s, the theme song of "Fly More Than a Popular Singer" was "Chikichiki Chakachaka"

He gained popularity by making and singing.

He made and sang not only the theme song but also the inserted songs himself.

In particular, i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and fu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ost popular singers' attempts to combine Korean traditional music often end up as a one-time event.

Many singers have combined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most of them have one or two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n their existing pop music

Or, it was a clumsy insertion of samulnori, and it was a one-time event.

Kim Soo-chul is the only one who has officially studied and tried Korean traditional music.

"Guitar Sanjo" is a new genre of music named and composed and performed by Kim Soo-chul, and in the history of Sanjo

It is the first song to be born.

The premiere of Guitar Sanjo was played at the 86 Asian Games, and since it was named Guitar Sanjo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Gugak Orchestra in 1987, at the newly attempted regular concert

I played with Kim Deok-soo Samulnori.

가 사 (왜 모르시나)

거기서 누가 우시옵니까 멀리있어 보고싶은 연인이되어

거기서 누가 우시웁니까 내가 바로 울려하는 그림잡니다

못잊게 생각나서 피고지던 숱한 나날 구슬처럼 고인 눈물

내일따라 발길따라 온밤을 온밤을 적시어서

그것을 왜 모르시나 그것도 왜 모르시나

간주중

거기서 누가 기다려요 긴긴세월 한결같은 님 사랑에

거기서 누가 기다려요 기약하신 기리움이 내님이시여

철없이 님 기다려 가고넘은 인생의길 저몰라라 꿈으로나

오시는 그 한사람 내 청춘 내청춘 시들어요

그것을 왜 모르시나 그것도 왜 모르시나

The lyrics. (Why don't you know)

Who cries there? Being a lover who wants to be far away

Who cries there? I'm the crying shadow

Tears that bloomed because I couldn't forget about it't forget

I'll follow you tomorrow and soak up the whole night

Why don't you know that? Why don't you know that

under consideration

Who's waiting there I love you for a long time

Who's waiting there I'm sure you'll do it

I'll wait for you immaturely, and I won't know the path of life, even in my dreams

The one person who comes, listen to my youth

Why don't you know that? Why don't you know that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6,940건 28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exr.kr

접속자집계

오늘
996
어제
2,386
최대
78,305
전체
13,485,323
상세보기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그누보드5
Copyright © kpopwiz.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cs@epr.kr